재테커 산용이
운송업 관련주 해운 테마주 (feat. 중국발 물류대란) 본문
중국발 물류대란 관련주 테마주
지난 2022년 3월 14일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중국 광둥성 선전시가 전격 봉쇄됐다는 소식이 전해졌었습니다. 이로 인해 중국 증시가 개장하는 오전 10:30분부터 코스피도 영향을 받아 하락했었습니다. 하지만, 물류 관련주들은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는데요.
하지만 2022년 3월 27일 밤, 상하이시가 단계적으로 봉쇄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3일 후인 3월 30일 마침내 물류 관련주들이 주목을 받고 상승했습니다. 오늘은 한 때 쿠팡 상장 관련주로 주목받았었던, 그러나 중국발 물류대란으로 수혜 받을 수 있는 물류주들에 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1. 상하이시 봉쇄
올해 중국에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로 확진자가 증가할 때, 상하이는 봉쇄를 안 하고 정밀 방역으로 해결해나간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상하이시에서도 웨이보 계정을 통해 입장문을 내고 "도시 봉쇄는 루머이니 동요하지 말아 달라"라고 강조했었습니다.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규모에서 1위 수준을 보이는 항만을 가지고 있기도 했고, 중국의 경제 수도라 불릴 만큼 역할이 중요한 도시라 봉쇄까지는 안 할 것이라 예측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요. 결국 확진자 수가 증가하자 지난 3월 28일부터 동쪽과 서쪽으로 단계적으로 봉쇄하고, 시민 2,500만 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뒤 전면 봉쇄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습니다.
이에 따라 상하이에 진출한 테슬라가 공장 조업을 중단했으며 3주가 지난 4월 18일이 되어서야 근로자가 공장에서 떠나지 않는 폐쇄루프(Closed Loop) 방식으로 생산 정상화 계획을 위한 공장 재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2. 상하이 앞바다 항만 적체 현황
이런 중국의 조치로 상하이항 앞바다는 하역하지 못한 선적들로 붐비고 있다고 합니다. 다음 그림을 보시면 더 이해하기 쉬우실 텐데요. 베셀파인더(vesselfinder)라는 웹사이트에서 상하이 항구 쪽을 확대한 사진입니다.
화살표는 움직이고 있는 선박이고, 동그라미가 정박해 있는 선박입니다. 동그라미를 보시면 현재 수많은 배들이 상하이 근처에 정박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위의 2개 그림 모두 화물 선박만 표시한 건데, 세계 제1의 항구인 만큼 평상시에도 얼마만큼 있는지를 비교해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는 상하이거래소에서 상하이 수출 컨테이너 운송시장의 15개 항로의 spot 운임을 반영한 운임지수라고 합니다. 매주 금요일에 발표됩니다.
한국관세물류협회(홈페이지->물류통계->운임지수)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구글에서 SCFI로 검색하면 제일 위 항목에서 바로 찾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한국관세물류협회에서는 BDI(Baltic Dry Index), HRCI(Howe Robinson Container Index)도 게시하는데, 해상운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수입니다.
차트를 보면 아직은 운임지수가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상하이시의 봉쇄가 풀리고 물량이 한꺼번에 몰리면 대기도 길어지고 운임도 올라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지수가 전고점을 돌파하면, 물류주들도 다시 한번 상승하는 움직임을 보여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4. 중국발 물류대란 관련주
① 한솔로지스틱스 (009180)
② KCTC (009070)
③ 태웅로직스 (124560)
④ 동방 (004140)
⑤ 인터지스 (129260)
⑥ 삼일 (032280)
⑦ 한익스프레스 (014130)
⑧ 국보 (001140)
⑨ 세방 (004360)
※ 이 글은 단순 참고 목적으로 쓰였으며, 종목 추천이나 투자 권유 목적으로 쓴 글이 아닙니다.
'주식 테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력발전 관련주 (feat. 윤석열 공약) (0) | 2022.04.21 |
---|---|
철강주 (중소형) 관련주 테마주 (0) | 2022.04.20 |
식량 위기 관련주 3편(육계, 양돈, 수산) (0) | 2022.04.18 |
식량 위기 관련주 2편(대두, 커피원두, 면화, 설탕, 밀가루, 농기계) (0) | 2022.04.17 |
식량 위기 관련주 1편(비료, 사료) (1) | 2022.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