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커 산용이

팜유 관련주 (feat. 인도네시아 팜유 수출 금지) 본문

주식 테마 정리

팜유 관련주 (feat. 인도네시아 팜유 수출 금지)

산용이 2022. 4. 25. 19:50

팜유 관련주

2022년 4월 23일 오전(한국 시각)에 인도네시아가 오는 28일부터 식용유로 사용되는 팜유와 그 원료 수출을 금지한다고 기사가 나왔습니다. 팜유는 기름야자나무 열매를 착유하고 가공해서 만드는 오일인데요. 식용유뿐만 아니라 마가린, 초콜릿, 아이스크림, 라면, 피자 반죽, 과자, 포장 빵 등의 가공식품과 비누, 클렌징폼, 샴푸 등의 세정제, 립스틱, 크림, 로션 등의 화장품 원료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곳에 쓰이는 식물성 오일입니다. 오늘은 인도네시아의 팜유 수출 제한 조치와 관련한 종목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세계 4대 식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은 원료로 사용하는 식물들이 많습니다. 프리미엄으로 유명한 올리브유도 있고, 포도씨유, 옥수수유, 코코넛유, 야자유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중에서 생산량이 많은 세계 4대 식물성 오일이 존재하는데, 팜유, 대두유, 해바라기씨유, 유채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유채유는 흔히들 카놀라유라고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카놀라는 유채를 변형시켜 만든 유전자 변형 식물(GMO)이라고 합니다. 팜유는 이 식물성 기름 중에서도 생산량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작물들에 비해 재배 면적 대비 생산량이 많아 효율이 높고, 가격도 제일 싼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

식물성 오일 업종에서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은 큰 임팩트를 남겼습니다. 바로 우크라이나가 세계 4대 식물성 오일 중 하나인 해바라기씨유의 최대 생산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해바라기씨유 세계 제2위 생산지는 러시아라고 합니다. 러시아가 특수 작전이라는 명목으로 우크라이나의 항구를 파괴하고 해바라기씨유 선적을 봉쇄하면서 유럽을 비롯한 각국에서 해바라기씨유를 대체할 것으로 팜유를 수입하기 시작했고, 코로나 직후 최저점을 찍은 후 꾸준히 상승하던 팜유 가격은 전쟁 이후 급등하게 되었습니다. 

팜유 가격 추세 (최근 5년)
팜유 최근 5년 가격 추세 (출처: Trading Economics)

 

3. 인도네시아 정책

인도네시아는 세계 최대의 팜오일 생산국가입니다. 미국 농무부(USDA)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 팜오일 생산량의 58%를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뒤를 이어 말레이시아가 26%, 태국이 4% 정도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현재 인구는 약 2억 7,900만 명인데, 과거 데이터이긴 하지만, 전체 인구수의 20% 이상이 직간접적으로 팜오일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고 하니 인도네시아에서 팜오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1월부터 팜유 관련 정책을 계속해서 내놓았는데요. 팜오일 원유의 국제 가격 상승으로 자국 내 식용유(팜오일 원유로 만든) 가격이 급등하자 수출허가제를 도입했습니다. 팜유 생산업자들이 국내 공급보다 수출에 집중한 것이 그 원인으로 생각해서입니다. 당시에는 수출량의 20%를 국내에 공급하는 '내수시장 공급의무(DMO)' 정책이었습니다만, 계속해서 가격과 공급이 불안정해지자 지난 3월 10일에 팜유가 안정될 때까지 이 DMO를 20%에서 30%로 높이는 추가 조치를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물가 압박이 계속되자 결국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지난 22일에 오는 28일부터 팜유 수출 금지 조치를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4월에 파종해야 하는 해바라기는 전쟁이 지속됨에 따라 그 생산량이 줄어드는 것은 뻔한 일인데요. 올해 하반기부터 영향이 더 심화될 수 있다고 합니다. 

 

 

4. 팜유 관련주

① 신송홀딩스 (006880)

② 제이씨케미칼 (137950)

③ 샘표 (007540)

④ 사조대림 (003960)

 

 

 이 글은 단순 참고 목적으로 쓰였으며, 종목 추천이나 투자 권유 목적으로 쓴 글이 아닙니다.

 

Comments